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슈퍼301조와 한국의 무역관계

by 투잘 2023. 7. 14.
반응형

슈퍼301조란?

슈퍼301조는 미국의 무역법 중 하나로, 미국의 무역이익을 침해하는 외국의 불공정한 행위를 제재하는 조항입니다. 이 조항은 1988년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1994년에 개정되었습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의 무역대표부(USTR)가 매년 외국의 불공정한 행위를 조사하고, 우선협상국(Priority Foreign Country)을 지정하며, 협상이 성공하지 못하면 관세나 제재를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슈퍼301조는 한국과의 무역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989년에 한국은 우선협상국으로 지정되었으며, 지식재산권 보호, 자동차 수입, 비농산물 관세 등 여러 분야에서 미국과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2018년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KORUS FTA)의 개정 협상이 슈퍼301조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슈퍼301조는 미국의 일방적인 무역압력 수단으로 비판받기도 했습니다. 슈퍼301조는 세계무역기구(WTO)의 규칙과 상충하는 부분이 있으며, 외국의 내부법을 강제로 변경하려는 개입주의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주장되었습니다. 슈퍼301조는 또한 미국의 정치적 의도나 이해관계에 따라 적용되기 때문에, 공정하고 투명한 기준이 부족하다고 지적되었습니다.

슈퍼301조의 역사

슈퍼301조는 1974년 개정된 미국 통상무역법 301조의 개정 조항으로, 미국의 무역이익을 침해하는 외국의 불공정한 행위를 제재하는 조항입니다. 이 조항은 1988년에 종합무역법에 의해 독립된 법률로 취급되면서 슈퍼301조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의 무역대표부(USTR)가 매년 외국의 불공정한 행위를 조사하고, 우선협상국(Priority Foreign Country)을 지정하며, 협상이 성공하지 못하면 관세나 제재를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슈퍼301조는 1989년부터 1990년까지 2년 동안 한시적으로 운용되다 부시(Geore H. W. Bush) 행정부 아래서 폐기되었습니다. 그러나 1994년 클린턴(Bill Clinton)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의해 부활하였으며, 이후에도 트럼프(Donald Trump)와 바이든(Joe Biden) 행정부에서 대중국 무역분쟁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일보] 슈퍼 301조의 탄생

 

슈퍼 301조의 탄생

미국은 대공황 직후인 1930년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관세법을 제정했다. 반덤핑 관세, 외국 기업의 보조금과 세제 혜택에 대한 상계관세 및 불공정 제재가 골자였다. 그 법으로 인해 1932년 평균

www.hankookilbo.com

반응형

외교적 제재와 슈퍼301조의 차이점

외교적 제재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게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등의 압력을 가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입니다. 외교적 제재는 국제법이나 국제기구의 결정에 따라 적용되기도 하지만, 일방적으로 적용되기도 합니다. 외교적 제재의 종류에는 외교관계 단절, 경제제재, 군사개입 등이 있습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의 통상법에 규정된 조항으로, 미국의 무역이익을 침해하는 외국의 불공정한 행위를 제재하는 조항입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의 무역대표부(USTR)가 매년 외국의 불공정한 행위를 조사하고, 우선협상국(Priority Foreign Country)을 지정하며, 협상이 성공하지 못하면 관세나 제재를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 외교적 제재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게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등의 압력을 가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이고, 슈퍼301조는 미국이 무역분야에서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입니다.
  • 외교적 제재는 국제법이나 국제기구의 결정에 따라 적용되기도 하지만, 슈퍼301조는 미국의 내법에 따라 적용됩니다.
  • 외교적 제재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슈퍼301조는 주로 관세나 수입제한 등의 경제적인 보복조치로 이루어집니다.

슈퍼301조와 한국의 무역관계

슈퍼301조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용되었으나, 이후에도 미국의 행정명령이나 무역분쟁에 따라 여러 차례 부활하였습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이 한국에게 불공정한 무역관행을 시정하고 시장개방을 요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989년에 한국은 농산물 시장에 장벽이 있다고 주장하는 미국의 슈퍼301조 지정을 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미국산 쌀 수입을 허용하고, 쇠고기, 과일 등 다른 농산물의 관세를 낮추는 등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1997년에 한국은 자동차 시장의 접근을 막고 있다고 주장하는 미국의 슈퍼301조 지정을 다시 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미국산 자동차의 수입을 확대하고, 자동차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2018년에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KORUS FTA)의 개정 협상이 슈퍼301조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미국산 자동차의 환경규제 면제를 확대하고, 강철 수입 제한을 동의하는 등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슈퍼301조는 한국과의 무역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은 슈퍼301조 지정을 피하기 위해 또는 해소하기 위해 미국과 여러 분야에서 시장개방 협상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국내 산업이나 소비자들에게도 영향이 있었습니다.

슈퍼301조의 비판과 한계

국제무역질서에 위배될 수 있습니다. WTO의 규칙에 따르면, 무역분쟁이 발생할 경우, 우선 협상을 통해 해결하고, 협상이 실패할 경우 WTO의 분쟁해결기구에 제소하고, 그 판정에 따라 보복을 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슈퍼301조는 이러한 절차를 건너뛰고 미국이 단독으로 판단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WTO의 권위와 신뢰성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과 외교적 목표를 일치시키려는 정책이지만, 실제로는 미국의 타격도 적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슈퍼301조로 인해 보복을 받은 국가들은 미국에 대항하는 반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측의 무역량이 줄어들고, 세계경제 전체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슈퍼301조는 미국의 동맹이나 협력국들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으며, 글로벌 이슈나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협력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이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상대국에게 외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협력을 요구할 수 있는 카드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슈퍼301조는 상대국의 변화나 협상 의지를 강제하기보다는 저항이나 반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슈퍼301조는 상대국의 내부 정책이나 규제에 개입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이는 상대국의 주권과 자존심을 침해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슈퍼301조는 미국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보다는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마치며

슈퍼301조는 미국이 무역적자를 해소하고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불공정한 무역행위를 하는 외국에게 보복조치를 취할 수 있는 통상법입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의 경제 외교 정책의 일부로 볼 수 있습니다. 경제 외교 정책은 국가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면서 외교적 목표와 일치시키려는 정책입니다. 슈퍼301조는 미국이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상대국에게 외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협력을 요구할 수 있는 카드로 사용됩니다. 슈퍼301조는 미국 외교 정책에서 경제 외교 정책의 일부로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